김하늘 『샴토마토』

2021. 1. 10. 07:36동그린/그래서 무얼

728x90

 

 

 

 

김하늘 『샴토마토』

 

 

 

 

대학 시절 도서관에서, (내가 유일하게 토마토를 먹지 못해서) 유독 눈에 띄었던 시집 『샴토마토』. 당시 잘 알지 못했던 파란 시선과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던 시인 '김하늘'. 성별을 알 수 없는 기묘한 문장들 속에서 어찌 된 영문인지 퇴폐미가 과즙처럼 뚝뚝 묻어나길래, 나는 그 자리에서 몇 시간 동안 읽었었다. 이후 곧장 모바일로 주문까지. 이건 꼭 내 서재에 꽂혀 있어야만 해 하며. 내가 진정 쓰려고 했던 건 이런 게 아니었을까. 언젠가 퇴폐적이라는 말을 참 사랑했는데.

이따금 『샴토마토』를 읽으면 나는 여전히 그런 생각에 잠기곤 한다. 우연이라고 하기엔 그날은 내게 너무 강렬히 배어 있다. 이제는 인스타그램으로 안부도 건넬 수 있는 사이. 뭐랄까 나를 대변해 주는 듯한 기분 좋은 착각과 이야기 속에서 언제나 감사할 따름이다. 앞으로도 한걸음 한걸음 나아가시어 최근 흔적이 담긴 따끈한 시집을 출간했으면 좋겠다. 몇 권씩 사서 소장할 의향이 있으니 말이다. 지난 12월 아침달 출판사의 『그대 고양이는 다정할게요』에 반려묘에 관한 짧은 산문 1편과 시 2편이 실리긴 했어도, 나는 애독자로서 더 더 더 더 더 갈구할 테다.

 

 

 

마치 그것이 생래적인 것처럼,

 

다만

쓴다

 

2016년

김하늘

 

제1부

블랙커프스홀 / 레쩨로의 밤 / 바나나 실루엣 / 너는 없고 네 분위기만 남았어 / 버진 로드

자궁폭력 / 나는 늘 아파 / 플로럴 폼이 녹는 시간 / 늪, 야상(夜商) / Oh, My Zahir!

상실의 시대 / 붉은 그림자들 / 샴토마토 / 데칼코마니 / 세기말의 연인들에게 / 지상의 방 한 칸

제2부

8분의 12박자 / Y군의 픽션들 / 소멸하는 여름 / XoxO / 맨발……자국 /

달팽이좌 / 세이렌 / Bad Bed / 살구눈물 / 안단티노 / 최후의 징벌

일회용 연애 / 블루 넌 / 12월 21일 49초 / 10분 전의 나 / 북극의 사생아

제3부

레몬증후군 / 나비, 숨 / 나비’향 / 사과나무독나비 / 북극나비 / 작별 / 윈도우블라인즈 303호

37.2° L’aube / 야행성 / 네 개의 유방이 있는 무대 / 다시 태어나면 심해어가 되고 싶어

장마 / 국외자 / Le pedicure / 33살의 크리스마스 / 게이샤, 꽃 / 춘우(春憂)

해설

전소영 지독하고 유려한 낙서

 

 


 

 

 

 

18-19p 「너는 없고 네 분위기만 남았어」

 

 

 

 

제목부터 나의 눈을 사로잡던 「너는 없고 네 분위기만 남았어」. 바르지 못한 시어들이 중구난방으로 흩어지는 게 아니라, '김하늘' 시인 고유의 영역에 정갈하게 놓인다. 그녀의 지휘하에 집결되는 건강하고 발칙한 쓰레기들. 이것이 시집 『샴토마토』에 대한 내 첫 감상이다.

 

24-25p 「나는 늘 아파」

 

 

'김하늘' 시인의 작품은 상처로 가득하다. '으깨진 마음'과 '우울' 그리고 '키스'. 때로는 얼룩으로 때로는 무늬로도 보이는 오랜 자국들은 그녀가 그녀로밖에 증명될 수 없는 하나의 사유가 된다. 이런 문장은 인간을 얼마나 비틀어야 짜내야만 나오는 것일까.

 

38-39p 「데칼코마니」

 

 

​​

「데칼코마니」는 서로라는 관계가 빚어내는 불안과 혼돈이 강박적으로 드러난다. 화자는 아픈데 이토록 아름답다. 특히 '나를 위로하기 위해 / 너를 내 풍경에 구겨 넣고,'라는 구절이 인상적인데, 작품의 후반부 '메아리'와 '종말'을 다루는 구절과 대치되어 더욱 복합적인 이미지가 출력된다.

 

46-47p 「Y군의 픽션들」

 

 

작품에서 'Y'는 한 명이거나 혹은 지금껏 화자를 지나온 수많은 인연들의 총체로도 읽힌다. 창작이라는 행위는 엄밀히 보았을 때 그 자체로 100% 픽션이지만 대개 경험을 기반으로 구축되곤 한다. 그런 관점에서 나는 「Y군의 픽션들」이 어디까지가 사실에 기우는지 궁금했다. 뭐, 전부 다 순수 창작일 수도 있지만. 그리고 마지막 연 '새벽의 도로를 질주하던 나의 맨발과 울울한 휘파람 소리'라는 표현이 너무 좋았다. 아주 특별한 표현은 아니지만 담백하면서도 선명히 그려진다. '김하늘' 시인은 주로 빠르게 치닫는 수사를 사용하는데, 그래서 더 간헐적으로 삽입되는 이런 표현에 힘이 실리기도 한다.

 

74-75p 「북극의 사생아」

 

 ​

「북극의 사생아」에서 가장 오래 머물게 되는 부분은 '여기선 눈을 칭하는 말이 스무 개쯤 있어 / 얼마나 근사한 일이야'였는데 시인도 그것을 잘 알고 있었던 모양이다. 이목을 집중시키며 의미를 전달하려는, 극에 달한 행갈이란 이런 것이 분명하다. 한편, 몰랑하고 말랑한 전반부에 반해 3연 끝에서는'개새끼'가 등장하는데 이는 화자의 내면이 천천히 붕괴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.

 

106-107p 「장마」

 

 

『샴토마토』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보편적(?)인 제목 '장마'. 기분 탓인지 몰라도 「장마」 내 문장들은 비교적 덜 매니악한 느낌이다. 화자가 '너'도 결국 돌아올 거라 믿는 장면으로 작품이 마무리되는데 이것에 대한 확신은 딱히 없으며, 만약 그런다 해도 그 시기는 꽤나 먼 후일일 것이다.

 

112-113p 「33살의 크리스마스」

 

몸 둘 바 모르겠는 적나라함과 욕망으로 꽉 들어찬 모습일지라도 화자는 기어코 동행을 말한다. 시집 한 권을 거뜬히 꿰뚫는 잔혹성과, 미학이란.

 

 

 


 

 

 

김하늘, 샴토마토, 파란, 2016